/
/
/
오늘은 세포 배양 실험의 제일 기본이지만 초심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는 세포를 계산해서 계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눈으로 보는 것이 이해하기 더 쉽기 때문에 아래의 링크에서 영상을 먼저 보고 오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세포 계대 방법]
세포를 계대하는 방법은 이렇게 마무리가 되며, 실험자의 손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습니다. 다만, 처음 실험을 접하는 사람들은 9번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리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seeding할 세포를 계산하는 방법을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세포 seeding 계산 방법]
우선 세포를 seeding하기 위해선 아래의 공식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고 세포 seeding을 할 때 기본적으로 마주치는 2가지 상황을 예시로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ex 1) 90 mm dish에 배지 10 ml, 세포 2X105 만큼 seeding할 때 ex 2) 96 well plate에 well당 배지 100 µl, 세포 2X103 만큼 seeding할 때
세포 수를 counting하는 법은 보통 hemocytometer를 사용하는 방법과 counting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뉘어 지며, 각 실험실에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알맞게 계산하면 됩니다.
1. Hemocytometer
사진출처: https://bitesizebio.com/13687/cell-counting-with-a-hemocytometer-easy-as-1-2-3/
첫번째로 hemocytometer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그림이 hemocytometer 이며 위와 아래쪽에 있는 홈에 Trypan blue와 cell을 희석해서 10 µl씩 분주한 후 현미경으로 가져가서 counting하면 됩니다. 희석 배율은 세포수에 따라 조절하면 되지만 우선 Trypan blue 10 µl과 cell 10 µl을 섞어서 2배 희석했다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F에 있는 설명처럼 자기만의 규칙을 세워서 counting하면 되는데 B, C, D, E 총 4면에 있는 세포수를 counting하면 됩니다. 4면을 counting해서 총 400개의 세포가 counting 되었다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나서는 공식에 따라 ex 1)과 ex 2)를 풀어보겠습니다.
ex 1)
→ 배지 9.9 ml + 8번 세포 100 µl = 총 10 ml → 잘 섞은 후 plate에 10 ml 전부 seeding하면 완료
ex 2)
→ 배지 9.504 ml (100 µl X 96 well - 96 µl) + 8번 세포 96 µl = 총 9.6 ml → 잘 섞은 후 well 당 100 µl씩 seeding하면 완료
2. Cell counting 장비
사진출처: https://www.gaiascience.com.my/productdetails/luna-ii-automated-cell-counter, https://dawinbio.com/product-information/?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2859951&t=board
두 번째로는 cell counting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Counting 장비는 hemocytometer랑 마찬가지로 양 옆에 있는 홈에 Trypan blue와 cell을 희석해서 10 µl 씩 분주하면 되지만 수동적으로 counting할 필요 없이 장비에 넣게 되면 바로 1 ml당 내가 가진 cell 수를 표기해 줍니다. 장비에 넣고 counting한 live cell값이 1X106 이라 가정해본 후 공식에 따라 ex 1)과 ex 2)를 풀어보겠습니다.
ex 1)
→ 배지 9.8 ml + 8번 세포 200 µl = 총 10 ml → 잘 섞은 후 plate에 10 ml 전부 seeding하면 완료
ex 2)
→ 배지 9.408 ml (100 µl X 96 well - 192 µl) + 8번 세포 192 µl = 총 9.6 ml → 잘 섞은 후 well 당 100 µl씩 seeding하면 완료
위의 예시들은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표기한 것이며 실제 실험하시는 분들은 계산한 값에 딱 맞아 떨어지는 양보다 피펫팅 과정 등에서의 손실을 고려하여 넉넉하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세포 배양 시 항상 배지 오염을 조심하시기 바라며, 세포 실험을 시작하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 되길 바래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