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의 곤충 세포들은 25-30°C에서 증식한다. |
|
배양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pH는 6.0-6.4이며 삼투압은 345-380 mOsm/kg·H2O이다. |
|
곤충세포를 배양할 때, 부착 배양과 35 ml 이하의 부유 배양 동안에는 고습을 유지해야 하며 35 ml |
|
이상의 부유 배양 동안에는 습도가 배양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
|
곤충 세포의 배양과 적용에 또 다른 요건이 되는 것은 충분한 O2 공급이다. |
|
따라서 부착 배양에서 부유 배양으로 전환할때는 최대한의 기체 교환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
|
부유 배양을 할 때는 mechanical shear force를 발생시킨다. |
|
부유 배양 동안에 세포가 받는 shear stress factor들에는 교반 배양 용기내의 impeller의 크기와 |
|
형태, 교반 속도, 공기 공급시 발생하는 거품의 크기와 발생 속도, 표면에서의 소용돌이 등이 포함된다. |
|
대부분의 경우 곤충 세포의 부유 배양 동안에 이러한 shear force를 방지할 필요로 한다. |
|
배지내의 5 - 10% 농도의 혈청이 어느 정도의 shear force를 막아주지만, Pluronic F-68 (LS 105-01)과 같은 |
|
shear force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
가장 많이 배양되는 Sf9 세포은 Spodoptera frugiperda (fall armyworm) ovary유래의 epitherial cell이다. |
|
Sf9 세포의 배양에는 부착 배양과 부유 배양법의 2가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
|
Serum-Free Medium과 Protein-Free Medium을 Insect Cell에 적용할 때, antibiotics나 |
|
antimycotics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만약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면 일반 사용량의 50%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
|
또한 곤충 세포는 혈청이 제거된 조건에서는 용기에 매우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탈착시에 손바닥으로 |
|
배양 용기를 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
|
Serum-free media를 곤충 세포에 적용한 후 세포의 증식에는 이상이 없지만 단백질 생성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
목적 단백질이 late phase의 단백질이라면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는데 이것은 세포의 protease때문이다. |
|
혈청이 포함된 배지는 이들 protease가 혈청에 포함된 다른 단백질들에게 분산 작용하여 |
|
목적 단백질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serum-free media에는 protease의 target이 되는 단백질이 많지 |
|
않으므로 protease의 작용이 목적 단백질로 몰리게 된다. |
|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서 protease inhibitor를 사용하거나 소량의 혈청(1% 이하)을 사용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