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um-free media와 protein-free media |
|
대부분의 세포주들의 경우에는 배지에 혈청을 첨가해 주어야 하지만, 1950년대에 합성 배지로 자연 배지를 부분적으로 |
|
대체할 수 있다고 보고된 이후로 혈청 공급 없이 세포 배양을 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무혈청 |
|
배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다. |
|
Ham's medium, NCTC 109, 135, Waymouth's MB752/1, MB705/1, Brich & Pirt media, Higuchi media, |
|
MCDB media 등의 배지를 사용하여 혈청의 첨가 없이 세포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대부분 이들 배지에 insulin, EGF |
|
(epidermal cell growth factor), albumin, transferrin, polyamine, fatty acid 등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
|
그러나, 무혈청 배지의 주요한 목적은 세포가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의 분리정제 과정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경우가 많으므로 |
|
불필요한 인자들의 첨가는 피하는 것이 좋다. |
|
최근에는 철을 수송하는 단백질인 transferrine 대신에 iron citrate, iron chelating reagent를 첨가하여 단백질 성분을 |
|
전혀 함유하지 않은 protein-free media도 개발되었다. |
|
JBI에서는 hybridoma 세포, CHO 세포, 곤충 세포를 위한 serum-free media와 protein-free media를 공급하고 있으며 |
|
사용하는 세포주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