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혈청 배지를serum-free media 또는 protein-free media로 전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장점도 많지만 |
|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어 많은 세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
|
1. 세포의 종류마다 각기 다른 종류의 배지를 필요로 하며 또한 각기 다른 방법으로 배양해야 한다. |
|
즉, serum-free media 또는 protein-free media에서 배양 가능한 세포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
|
2. 혈청 내에는 해독작용을 하는 여러 인자가 함유되어 있으나, serum-free media와 protein-free media에는 |
|
해독작용을 하는 혈청이 없으므로 시약과 물의 순도 및 기자재의 청결성이 엄격히 유지되어야 한다. |
|
3. Serum-free media 또는 protein-free media의 일부 구성성분은 상용화되어 있지 않아서 실험실에서 만들어 사용해야 |
|
한다. |
|
4. Serum-free media 또는 protein-free media를 사용할 수 있는 세포주는 제한되어 있고, 혈청 배지에 비해서 |
|
그 성장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