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 BCS) |
|
|
|
조직 및 세포 배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혈청은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 |
|
BCS) 두 가지가 있는데, 우아혈청은 대개 16 개월된 송아지에서 혈청을 채취한 것으로 우태혈청에 비해 |
|
항체와 호르몬의 양에 차이가 있다. |
|
우아혈청은 우태혈청에 비해 단백질의 양이 2배에 달하고 항체 또한 약 100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
|
일반적으로 우태혈청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세포에 따라서는 우아혈청이 우태혈청에서보다 더 |
|
더 좋은 결과를 줄 수도 있다. |
|
우태혈청(FBS)과 FCS (fetal calf serum)을 혼용하고 있는데 'fetus'는 동물의 태아를 의미하고 |
|
'calf'는 송아지를 의미하므로 FCS 용어의 사용은 잘못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
|
|
*투석우태혈청(dialyzed fetal bovine serum) |
|
|
|
투석우태혈청(dialyzed fetal bovine serum)는 12,000 - 14,000 molecular weight cut-off membrane을 사용하여 |
|
0.15 M NaCl solution으로 투석하며 glucose level이 5 mg/dL 이하로 될때까지 투석한다. |
|
이 과정은 exhaustive dialysis가 아니기 때문에 amino acid와 같은 low molecular weight dialyzable component가 |
|
모두 제거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침전과 serum peptide 불활성화 또한 없다. |
|
투석우태혈청은 일반적으로 저분자량의 성분들이 방해를하는 실험에 사용된다. |
|
이러한 실험에는 HPRT (hypoxanthine-thymidine deficient), DHFR (dihydrofolate reductase), |
|
GS (glutamine synthetase)와 같은 transfected cell system에 대한 labeling 과정도 포함된다. |
|
투석은 염, 호르몬, 기타 저분자의 protein을 포함한 많은 성분들의 level을 감소시킨다. |
|
|
|
* 신생우아혈청(newborn calf serum, NCS) |
|
|
|
신생우아혈청(newborn calf serum, NCS)은 생후 10일 이하의 송아지에서 채취한 것으로 |
|
우태혈청과 많은 점에서 유사하며 다만 protein의 함량이 약간 높다. |
|
혈청은 때로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성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위험성을 완전히 제거하기 |
|
위해서 gamma 선 조사 처리된 gamma-irradiated serum을 사용하기도 한다. |
|
|
|
*Iron supplemented bovine calf serum |
|
|
|
Iron supplemented bovine calf serum은 4 - 6 개월된 formula-fed calves로부터 채취된 것이다. |
|
송아지의 먹이는 사육용이므로 혈청에는 lipid와 lipoprotein의 함량이 많다. |
|
Formula-fed calves 유래의 혈청은 우태혈청에 비해 약 2배의 protein level을 가지지만, |
|
세포 배양에 필요한 iron의 함량은 낮다. |
|
우아 혈청의 transferring 분자를 iron으로 채워준다면 경제적인 면에서 고가의 우태혈청을 대체할 수 있다.
|
|
* Charcoal stripped serum |
|
|
|
Charcoal stripped serum은 혈청내 여러 성분들이 제거되어 있는데 이중에는 |
|
estrogen과 같은 lipid-soluble factor (steroid hormones, thyroid hormones 포함)의 |
|
제거도 포함되어 있다. |
|
|
|
* De-lipidated serum |
|
|
|
De-lipidated serum은 silica로 lipid가 제거된 혈청으로서 cholesterol, triglyceride |
|
등이 제거되어 있으며 또한 glucocorticoids, retinoic acid 등과 같은 lipid-soluble contaminant들도 제거되어 있다. |
|
|
|
* 사람 혈청(human serum)과 말혈청(horse serum, HS) |
|
|
|
우태혈청과 우아혈청외에도 사람 혈청(human serum)과 말혈청(horse serum, HS)이 |
|
사용되기도 하는데, 사람 혈청은 몇몇 인체세포주 배양에 사용되고 있으나 윤리적인 |
|
문제로 인하여 제조 및 사용상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
경우에 따라서는 우아혈청보다 말혈청을 선호하는데, 폐쇄되어 무리짓는 말의 |
|
혈청을 얻을 수 있어서 혈청을 채취할 때마다 그 내용물이 일정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