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물세포의 배양은 1907년 Harrison이 올챙이의 척색에서 취한 신경선유세포를 |
|
개구리의 응고 림프액에 배양함으로써 시작되었다. |
|
그 후 많은 연구자의 노력에 의하여 혈청과 조직 추출액에 무기염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첨가함으로써 |
|
동물 세포를 배양기 안에서 재현성이 좋게 배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중엽에 HeLa 세포를 비롯한 |
|
여러 세포주가 수립되기 전까지, 세포배양법은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되지 못했다. |
|
그 이유로는, 첫째는 혈청(serum)때문이었다. 동물세포의 배양에는 혈청이 반드시 필요한데, |
|
혈청은 여러 물질이 혼합된 아주 복잡한 복합산물이며, 다수의 미지의 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
|
그들의 구성성분 함량도 공급동물의 성, 연령, 영양상태에 따라 현저하게 변화한다. |
|
따라서, 연구 결과의 재현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둘째는 특이적인 기능을 발현하는 |
|
세포주의 수립이 어려웠던 것이다. |
|
정상 세포를 생체 밖에서 배양할 경우 여러 회 분열한 후 사멸하여 버리기 때문에 실험할 때마다 조직에서 |
|
세포를 추출하는 일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그 후 개발된 암화에 의한 세포주의 확립은 동물세포를 이용한 |
|
연구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최근에는 세포주 수립 기술이 확립되고 각종기능을 가진 세포주가 |
|
만들어지면서, 혈청을 첨가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성분을 첨가하여 구성성분을 이미 알고 있는 배지에 |
|
배양하는 무혈청 배양법이 Sato 등에 의해서 확립되었다. |
|
무혈청 배양의 시도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
|
1963년과 1965년에 Ham은 혈청 공급 없이 CHO 세포를 클론닝할 수 있었다. |
|
Ham은 세포배양에서 혈청의 역할은 주로 영양분의 공급에 있다고 보고, 세포영양학의 입장에서 |
|
배지의 영양환경을 엄밀하게 조정함으로써 배지성분에서 혈청을 제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
|
이러한 생각으로 각종의 세포주를 사용하여 50-60 종류의 성분을 함유한 많은 배지가 고안되었다. |
|
1970년대에 들어서 Sato는 세포배양에 따른 혈청의 역할은 영양분의 공급보다는 오히려 |
|
호르몬의 공급에 있다고 생각하여 각종의 호르몬류를 혈청 대신 첨가함으로써 |
|
여러 종류의 세포주를 무혈청에서 배양하는데 성공하였다. |
|
최근에는 MCDB series 배지가 개발되어 이에 여러 첨가제가 더하여져 다수의 세포주의 무혈청 배양에 이용되고 있다. |
|
현재 동물세포배양법은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발견, 생리활성물질의 생산 기술, 배양시스템의 개발, |
|
천연 생리활성물질로부터 유도체의 제작, 치료용 세포의 생산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그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