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립현미경 (Inverted Microscopy)
|
|
세포배양시 항상 세포의 모양을 관찰해야 하므로 현미경은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 |
|
배양기 안에서 배양하고 있는 세포를 관찰하기 위하여 광원이 위에 있고, |
|
대물렌즈가 아래에 있는 도립현미경을 갖추는 것이 좋고 배율은 40-200배 정도라면 적당하다. |
|
CO2 incubator
|
|
동물 세포 배양 기간 동안 배양 배지내 pH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액상 배지의 |
|
한 성분인 NaHCO3와 CO2 기체와의 평형에 의해 배지의 pH가 조절된다. 따라서 동물 세포 배양에는 |
|
CO2 incubator가 필수적이다. |
|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CO2 incubator의 대부분은 water jacket 형으로서 문의 개폐에 따르는 온도변화가 작고 |
|
복귀속도도 빠르다. |
|
Incubator 내부 가장 아래에는 배지의 습기 증발을 막기 위해서 가습 vat가 있어야 하며 |
|
늘 멸균수를 채워 넣어 내부 습도를 100%로 유지한다. |
|
CO2 incubator는 고온다습하여 잡균의 오염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무균 상태를 유지하도록 주의해야하며 |
|
자주 청소할 필요가 있다. |
|
Incubator의 내부는 1% SDS로 닦고 건조시킨 후 70% ethanol로 다시 한번 닦아낸다. |
|
또한 가습용 vat의 물은 멸균수를 사용하고 방부제로 methyl p-hydroxybenzoic acid를 적당한 양으로 첨가하면 좋다.
|
|
Clean bench
|
|
Clean bench는 무균조작을 위한 작업대이며, HEPA filter 및 송풍기를 사용하여 무균공기를 |
|
항상 내부로 보낸다. |
|
Clean bench 내부에는 형광등과 자외선 살균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
|
항상 살균등을 켜놓아야 한다. 사용한 후에는 작업대를 70% ethanol로 닦아야 한다. |
|
Clean bench 내에는 세포배양에 필요한 여러장비, 즉, autopipettor, aspirator |
|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후 배양상청액을 흡취하는데 사용한다), forceps, micropipetter, |
|
burner, pipette (1ml, 5 ml, 10 ml, 25 ml, etc.)등을 둔다. 일반적으로 burner는 pipette과 |
|
배지 병의 입구등을 화염멸균할 때 사용하지만 무균조작 자체를 신중히 하면 화염멸균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
|
초순수 물 제조장치
|
|
동물세포의 배양, 특히 무혈청배양에 사용하는 물의 순도는 매우 중요하다. |
|
그러므로 동물세포를 실험할 때 사용하는 물을 고도로 정제하는 장치는 필수품이다. |
|
JBI에서는 세포배양에 필요한 초순수물(JBI, Cat. No. LS 016-01)을 판매하고 있다. |
|
배양 용기
|
|
유리제와 플라스틱제가 있다. 부유세포의 경우에는 유리제와 플라스틱제의 어느 쪽에도 문제가 없으나, |
|
접착세포의 경우 유리제에 collagen, poly-D-lysine, fibronectin 등의 접착인자를 coating하는 |
|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
|
플라스틱제 배양기는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서 세척, 멸균 등의 작업이 필요없다. |
|
플라스틱제 배양기는 dish, flask, microwell plate, roller bottle 등의 여러가지 크기와 형상이 있으며 |
|
각각의 특징을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
|
Tissue culture vessels |
Growth area (cm2) |
Medium volume (ml) |
*1X trypsin or
1X trypsin-EDTA solution Volume (ml) |
Microwell plates |
|
|
|
96 well |
0.32 |
0.3 |
0.3 |
24 well |
2.0 |
0.5 - 1.0 |
0.5 |
12 well |
3.8 |
1 - 2 |
1 |
6 well |
9.6 |
2 |
1 |
Culture Dishes |
|
|
|
35 mm |
9.6 |
2 |
1 |
60 mm |
21 |
5 |
2 |
100 mm |
55 |
10 |
5 |
150 mm |
145 |
20-30 |
8 |
Flasks |
|
|
|
25 cm2 (T-25) |
25 |
5 - 10 |
2 |
75 cm2 (T-75) |
75 |
15 - 30 |
5 |
175 cm2 (T-175) |
175 |
30 - 50 |
8 |
225 cm2 (T-225) |
225 |
50 - 70 |
15 |
Roller Bottles |
|
|
|
1250 ml |
490 |
100 - 200 |
- |
2200 ml |
850 |
100 - 250 |
- |
4900 ml |
1750 |
100 - 500 |
- |
|
|
* 1X trypsin: contains 0.25% porcine trypsin (1:250) |
|
* 1X trypsin-EDTA: contains 0.05% porcine trypsin (1:250) and 0.53 mM EDTA·4Na
|
|
액체 질소 보존통
|
|
세포의 장기 보존을 위해서는 액체 질소 보존통이 필수품이다. |
|
액체 질소 보존법에는 액체 질소 용액 내 보존(-196°C)과 액체 질소 증기 내 보존(-120°C)이 있다. |
|
액체질소 용액 내 보존은 액체질소가 동결앰플(ampule) 내에 침투할 경우 바이러스 등의 오염의 원인이 되고, |
|
해동시에는 앰플내의 액체질소가 기화하여 폭발할 위험이 있다. |
|
이러한 이유로 액체질소 용액 내에 보존을 할 경우 silicone rubber에 packing이 붙어 있는 |
|
플라스틱제의 cryotube를 사용하든가, 유리앰플에 봉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액체 질소 보존법은 거의 반영구적으로 보존이 가능하지만 일년에 한번은 해동하여 배양하고 다시 동결하도록 한다. |
|
액체질소는 기화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